농꾼의 이야기

[스크랩] 밤나무 정지전정

asin0715 2017. 10. 30. 17:42
밤나무 정지전정
□ 밤나무의 생리적 특성
○ 양수(陽樹)로서 생장하고 개화 결실을 하는데 많은 광선을 필
요로 함
- 수관부위별 일사량이 15% 이하면 햇빛 부족으로 잎이 생장
할 수 없으며, 정상적인 개화결실을 위해서는 일사량이 30%
이상 되어야 함
수관부위별 일사량
5.0 m
30 - 70%
70 - 100%
10 - 15%
20 - 30%
착엽한계 착과한계
- 일조량은 하루 8시간 내외가 가장 좋으며, 4시간 이하의 경
우 영양생장은 할 수 있으나 결실이 불량하게 되며, 10시간
이상의 경우 동해나 줄기마름병 등의 해가 염려되며 토양이
건조해져 지력이 저하될 수 있음
○ 전년도 가지의 끝부분 동아에서 결과지(結果枝)가 생장하는
정부우세성(頂部優勢性)을 가지고 있음
- 결과지는 대개 정아로부터 5번째 이내의 눈에서 생장함
- 절단 후에도 가지의 끝눈이 정아의 역할을 하므로 절단전정
을 통해 나무의 모양을 변화시키고 개화결실 조절이 가능
□ 정지전정 의의 및 목적
○ 정지전정(整枝剪定)이란 가위와 톱 등을 이용하여 절단, 솎음,
유인 등을 통해 원하는 수형으로 유도하는 관리작업으로서
넓은 의미에서는 정지와 전정을 총괄하여 전정이라 함
○ 정지전정의 목적은 매년 안정적으로 고품질의 과실을 수확할
수 있도록 가지를 잘라 내거나 솎아주어 영양생장과 생식생
장 간의 균형을 유지시켜 주는 데 있음
- 개화 및 결실량 조절을 통해 해거리(격년결실)를 방지하며,
품질이 양호한 과실 수확량의 증대로 수익성 향상
- 나무크기와 모양, 수관 내 가지밀도, 결실부위의 분포 등을
조절하고 나무세력을 건강하게 유지함으로써 경제수령 연장
- 재배관리 목적에 적합한 형태로 수형을 유도하거나 수관 울
폐도를 개선하여 재배관리의 생력화와 재배의 안정성 향상
으로 토지생산성 증대
□ 전정시기에 따른 구분
○ 동계전정
- 낙엽 직후부터 이듬해 봄까지 휴면기간 동안에 실시하는 전
정으로 하계전정과는 상대적인 개념임
- 대개 1~2월에 실시하며 겨울철에 심한 추위가 있어 동해피
해가 예상되거나 한랭한 지역에서는 3월 중순까지도 무방함
○ 하계전정
- 새가지의 생장이 시작된 이후부터 낙엽기까지 생육기에 실
시하는 전정
- 수세가 왕성한 유목의 경우 동계전정만으로는 나무의 크기를
적당히 조절할 수 없을 경우에 적합하며, 전정노력의 분산으
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등 동계전정의 보조수단으로 활용
□ 정지전정 방법
1. 절단전정
○ 전정 시 가지의 일부분을 잘라내는 것을 말하며, 튼튼한 나무
의 골격으로 만들거나, 인접한 빈 공간을 새가지로 채우고자
할 때 실시함
○ 한편, 가지가 오래되어 세력이 약하고 생산력이 떨어진 굵은
가지를 잘라 세력이 강한 새로운 가지를 발생시키기 위해 하
는 갱신전정도 절단전정의 한 방법으로 노령목의 갱신 시 적
합함
○ 새가지의 생장은 전정 강도에 비례하는데 자름정도가 심할수
록 새가지의 생장량은 증가하나 결실성은 떨어짐
○ 정상적인 개화결실을 위해서는 전년도에 자란 가지길이 중
정단부로부터 1/3 이하만 자르는 것이 좋음
※ 전년도 결과지의 경우 착구부위 위 가지길이를 기준으로
1/3 이하만 자르는 것이 좋음
갱신 절단전정 후 맹아지의 생장
2. 솎음전정
○ 불필요한 가지를 발생한 기부에서 절단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수관 내부에 광 투과율을 높여 밀식피해를 줄이는데 가장 효
과적임
○ 수관내부의 가지 중 위로 향하는 직립지, 안쪽으로 향하는 역
행지, 가지와 가지가 겹쳐지는 중복지, 아래로 향하는 하향지
등을 대상으로 함
솎음전정 전
솎음전정 후
<전정 시 유의사항>
▶ 톱을 이용하여 가지를 절단할 경우 절단면을 가급적 작게
하고 경사지게 하며, 절단부위의 유합을 촉진하고 병해충의
침입 및 서식을 방지하기 위해 톱신페스트 또는 목공용 본
드 등을 발라줌
▶ 전정가위는 예리한 것을 사용하여 절단면이 매끈하게 잘라지
도록 하고, 도장지 등 가지를 솎아낼 때에는 그루터기가 생
기지 않게 절단면이 원가지와 편평하도록 기부에서 잘라냄
□ 절단전정의 효과
○ 절단수준이 높아질수록 새가지 생장량은 증가하나 결실량을
좌우하는 결과모지당 결과지수, 착구수량은 감소함
○ 절단수준이 높아질수록 착과율이 증가하며, 결실량은 감소하
나 특대과 및 대과의 비율이 높아져 과실품질이 우수
새가지 생장량(cm)
결과모지당 결과지 수(개)
결과모지당 자화수량(개)
결과모지당 착구수량(개)
결과모지당 수확량(g)
품종별 특대과+대과 비율(%)
□ 정지전정 시 고려사항
1. 수세
○ 수세는 전정의 강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품종,
토양의 비옥도, 결실량 등에 따라 좌우되며, 같은 나무에서도
수관을 구성하는 위치에 따라 가지의 세력이 달라짐
○ 수세가 강한 나무를 강전정 하게 되면 세력이 강한 가지가
많이 발생하므로 수세안정을 위해 약한 전정을 실시하고, 반
면에 수세가 약한 나무는 강전정을 통해 영양생장을 촉진시
켜 세력이 강한 새가지의 발생을 유도
○ 세력이 강한 직립성 가지는 안정된 수세 유지를 위해 기부에
서 제거하며, 수관 내부 혹은 하부의 세력이 약한 가지도 솎
아줌
2. 생장습성
○ 품종에 따라 가지의 발생각도, 신장 습성 등 생장습성이 다르
므로 가지의 생장형태에 따라 직립성, 개장성 등으로 구분함
○ 직립성 품종의 경우 중앙가지의 세력이 강하고 분지각도가
좁은 가지의 발생이 많으며 수관 상부의 세력이 강하므로 수
고를 낮추기 위하여 상부 직립성 가지 바로 밑의 세력이 적
당한 수평지까지 전정을 하여 직립성 가지를 제거함
○ 가지 분지각도가 넓은 개장성 품종의 경우에는 수세안정이
용이하여 바람직한 수형을 만들기가 쉬우므로 필요에 따라
절단전정과 솎음전정을 적절히 시행
3. 결실특성
○ 밤나무의 수꽃은 전년도 여름에 분화하지만, 암꽃은 당년도
눈이 트기 전후에 분화하며, 결과모지의 정단부부터 3~4개
눈 중 영양상태가 양호한 눈에서 분화?형성되므로 겨울철에
결과모지를 강하게 잘라내면 암꽃이 피지 않아 결실이 되지
않으므로 전년도에 자란 가지길이 중 정단부로부터 1/3 이하
만 자르는 것이 좋음
○ 결실 및 과실 품질은 결과모지의 세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
고 있으므로 충실한 결과모지가 되기 위해서는 기부직경이 8
㎜ 이상, 가지 길이가 30cm 이상이 되어야 함
○ 수관 점유면적 ㎡당 수확량이 0.5kg 이상으로 결실량이 많은
풍산성 품종의 경우 솎음전정 위주로 강하게 전정을 하여 수
관면적 1㎡당 남겨지는 충실한 결과모지(기부직경 8㎜ 이상)
의 수가 3~4개 정도가 되도록 하며, 일반품종은 5~6개 정도
가 되도록 함
<표> 주요 재배품종의 결실효율
※ 조사지역 : 국립산림과학원 밤나무 품종보존원(경기 화성 소재)
품 종
결과모지당
결과지 수
결과모지당
총 착구수
결과지당
착구수
수관 점유면적
㎡당 수확량(kg)
광은 2.26 3.09 1.34 0.36
단택 2.83 4.05 1.43 0.51
대보 2.68 4.61 1.73 0.41
대한 2.60 3.83 1.49 0.81
미풍 2.09 2.63 1.25 0.40
박미2호 2.55 5.05 1.98 0.51
병고57호 2.28 2.96 1.29 0.46
석추 2.88 5.40 1.90 0.53
옥광 2.24 2.96 1.29 0.33
유마 2.83 4.03 1.43 0.48
은기 2.98 4.19 1.40 0.48
이평 2.47 4.25 1.71 0.56
창방감율 2.55 5.25 2.05 0.53
축파 2.73 4.97 1.71 0.62
평기 2.46 4.10 1.65 0.38
4. 결실량
○ 결실량이 많으면 새가지의 생장이 억제되고 이듬해 결실량이
감소되어 해거리 현상이 발생하므로 영양생장과 생식생장 간
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전정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함
○ 전년도에 결실량이 적어 결실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해
에는 솎음전정을 통해 결과모지의 수를 줄이고 착과량이 많
은 해에는 하계전정을 통해 결과지를 솎아내어야 함
5. 울폐도
○ 울폐도는 인접하고 있는 나무와 나무 사이의 간격과 수관 내
부 가지 밀도에 의해 좌우되는데 밤나무는 원래 교목성이어
서 연간 생장량이 크기 때문에 2~3년 정도 전정을 하지 않
게 되면 울폐도가 높아져 수관 내부와 하부의 가지가 고사함
○ 식재 후 7~8년 정도 경과하면 인접한 나무와 수관이 맞닿기
시작하므로 정지전정을 통해 전정 후 나무 간 간격이 0.7m
이상이 떨어지도록 하고 솎음전정을 통해 수관내 가지밀도가
적절히 유지되도록 울폐도를 개선
울폐화된 밤나무 재배지
밤나무 수형관리
□ 수형조절의 필요성
○ 밤나무는 양수이면서 정아우세 현상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또한 수관내부에 햇빛이 잘 도달하여야 가지를 건전하게 생
장시키고, 병충해를 방지하며, 대립과실을 생산하여 품질 향
상 및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음
○ 따라서 과실품질 향상 및 병해충 방제 등 관리작업이 용이하
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높이의 수고 및 적정한 수관간격
이 유지될 수 있도록 어린 나무에서부터 정지전정을 통한 계
획적인 수형조절이 필요함
□ 식재 후 생장단계별 수형관리
1. 유목기
○ 기간 및 생장특성
- 품종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식재 후부터 4~5년까지의 시기
에 해당
- 영양생장이 왕성한 시기이므로 꽃눈형성이 지연되어 개화량
이 적고 결실성이 떨어짐
○ 정지전정 및 수형관리
- 식재 후 3년 이내에 지상 1.5m 내외의 높이에서 주간을 제
거하여 수고를 억제하고 수관의 확장을 도모하며, 3~4개의
주지가 사방으로 배치되도록 정지전정하여 개심자연형의 수
형으로 유도함
- 수세가 왕성하여 가지분지가 적고 길게 자라므로 7월 초에
세력이 강한 새가지의 끝을 자르는 순지르기(적심)를 통해
지나친 길이생장을 억제하고 겨울철 전정시 수형조절이 용
이하도록 곁가지의 발생을 유도함
- 수관 내부의 소약지는 광합성을 위한 엽면적 확보 및 수세
의 조기안정에 중요하므로 가급적 제거하지 않도록 함
- 품종 특성을 고려하여 정지전정의 강도 및 비배관리를 달리
하여야 하는데, 유목기에 수세가 강한 품종(대보, 이평, 옥
광, 평기 등)은 전정을 약하게 하고 과도한 시비를 금함
식재 1년차 전정 후
적심 2주 후 새가지 발생
2. 전이기
○ 기간 및 생장특성
- 품종에 따라서는 뚜렷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측면도 있으나
대체로 식재 후부터 4~7년까지의 시기에 해당
- 영양생장과 생식생장 간에 균형이 잡히면서 수세가 어느 정
도 안정화 되어 정상적인 개화와 결실이 이루어지나 대보,
옥광, 평기처럼 품종에 따라서는 과실형질 특성이 완전히
발휘되지 않을 수도 있음
○ 정지전정 및 수형관리
- 나무의 골격을 잡아가는 단계로 수세 및 가지생장을 고려해
서 절단전정과 솎음전정을 실시하여 수고를 4.5m 내외로
유지함
- 수세를 조기에 안정화시켜 결실이 잘 되도록 유도하여야 하
므로 수세가 강할 경우 전정의 강도를 약하게 하며, 수관의
확장을 꾀하도록 함
- 수관 내부의 소약지는 광합성을 위한 엽면적 확보 및 수세
의 조기안정에 중요하므로 가급적 제거하지 않도록 함
정지전정 前(5년생)
정지전정 後(5년생)
3. 성목기
○ 기간 및 생장특성
- 밤나무의 수확 최성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식재 후 8년부터
품종 및 관리 상태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15~20년까지의
시기에 해당
- 유목기와는 달리 생식생장이 왕성하여 정상적으로 개화와
결실이 이루어지며, 품종 고유의 과실형질 특성이 발현됨
○ 정지전정 및 수형관리
- 솎음전정 및 절단전정을 통해 수고를 4.5m 내외로 유지하
는 저수고 수형으로 유도함
- 수령이 증가함에 따라 수관이 커지게 되므로 축벌과 간벌을
실시하며, 전정 후 인접한 나무의 수관과 0.7m 이상 떨어지
도록 유지함
- 결실과다로 인한 수세약화로 결과모지의 발달이 미약하고
해거리 현상이 발생하는 등 생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철저한 정지전정 및 비배관리가 필요함
☞ 강한 정지전정이 요구되는 품종
풍산성 품종인 축파, 대한, 석추 등에 해당되며, 솎음전정
위주의 강전정을 실시하여 전정 후 수관면적 1㎡당 남겨지
는 충실한 결과모지(기부직경 8㎜ 이상)의 수가 3~4개 정
도가 되도록 함
☞ 보통의 정지전정이 요구되는 품종
대보, 이평, 은기, 옥광, 평기 등에 해당되며, 전정 후 수관
면적 1㎡당 남겨지는 충실한 결과모지(기부직경 8㎜ 이상)
의 수가 5~6개 정도가 되도록 함
<예비지(豫備枝) 개념>
▶ 예비지란 전년도에 자란 가지 중 인접한 가지에 가려 길이
가 짧고 세력이 약한 가지로 전정을 통해 주위의 가지가 제
거되면 왕성히 자라 당년 혹은 내년에 결과모지로서의 역할
을 할 수 있는 가지
▶ 성목기 이후에는 생식생장이 왕성하여 영양생장이 위축되므
로 과감한 정지전정을 통해 영양생장을 촉진시켜 예비지를
확보하도록 하여 결실잠재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함
정지전정 후 모습(11년생)
완성된 저수고 수형 결실모습
출처 : 다락골사랑
글쓴이 : 다락골사랑 원글보기
메모 : 밤나무 전정1